우체국 등기 보내는법 (우편 차이)

우체국 등기 보내는법 정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에는 워낙 IT 기술이 발달하여 왠만해서는 거의 모든 것이 온라인으로 처리가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중요한 계약, 법 관련 등의 일을 할때에는 서류, 페이퍼로도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죠.

여기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특히 ‘등기’라는 제도를 잘 모르고 계실 수도 있습니다. 혹시라도 등기로 보내달라는 요청을 받으셨거나, 등기는 어떻게 보내는지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를 봐주시기 바랍니다.

우체국 등기 ?

우체국 등기는 다른 우편물 과는 다르게 우편물의 취급과정을 기록에 의하여 명확히 하는 우편물의 특수 취급제도입니다.

우체국에서밖에 취급을 하지 않습니다. 일반 우편이나 택배와도 다르죠. 쉽게 말씀드려서 내가 보냈고, 상대방에서 받았다는 것을 공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등기’입니다.

우체국 등기 우편 차이점

보시면 국내 등기의 경우 접수에서 배달까지의 전 송달과정을 기록취급하게 됩니다. 여기에 망실이나 훼손, 지연배달 시 손해배상도 받을 수 있구요.

내가 상대에게 정말 중요한 문서 등을 확실하게 보내고 싶으실 때 우체국 등기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우체국 등기비용

우체국 등기 보내는법 요금
등기통상이 ‘등기’입니다.

당연히 일반 우편보다는 요금이 있습니다. 중량별로 요금이 책정되며, 익일 특급의 경우에는 조금 더 비쌉니다.

내가 중요한 서류 1장을 보내더라도 일반 우편이라면 400원이지만 등기로 보내면 2,500원이고, 익일 특급이라면 3,500원입니다. 대신 확실하고, 빠르게 보낼 수가 있는 것이죠.

카드 결제도 가능하기에 미리 중량에 따른 요금을 알아보실 필요는 없고, 그냥 우체국으로 방문을 하시면 됩니다.

등기 송달기준일

우체국 등기 보내는법

등기는 접수한 다음날 배달이 원칙입니다. 물론 우체국 마감시간 내 접수했을 경우이고, 제주도의 경우에는 그 다음 다음날 도착입니다.

혹시라도 불안하시면 등기를 접수하실때 ‘내일 받아야 합니다’라고 말씀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안내를 해줄 겁니다.

우체국 등기 보내는법

우체국을 방문하셔야 합니다. 주소지 이런거 상관없고 그냥 가까운, 가기 편한 우체국을 방문하시면 됩니다.

준비물

결제비용(카드), 보낼 내용물, 서류 봉투(없으시다면 우체국에서 구매 가능, 100원 정도), 보내는 사람+주소, 받는 사람+주소 만 있으시면 됩니다. 만약 내용물이 서류가 아니시라면 박스도 가능합니다. 박스 또한 우체국에 구비되어 있습니다.

우체국 운영시간

우체국은 9시부터 18시까지 운영합니다. 단, 등기 마감시간이 18:00이기에 18:00시에 방문하시면 익일 수령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가급적 시간 여유를 두고 방문하세요)

우체국 등기 보내는법 실제

먼저 가셔서 번호표를 뽑습니다.(사람이 없다면 번호표 안뽑아도 됨)

그리고 나서 보낼 등기를 준비합니다. 보낼 사람, 받는 사람을 봉투에 수기로 작성하셔도 됩니다. (봉투는 우체국에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우편 창구에 ‘등기’를 보낸다고 말하면 보낼 등기내용물을 저울 위에 올려놓으라고 합니다. 그러면 중량이 계산되고 요금도 책정됩니다.

비용을 결제하고 영수증(등기번호)를 받으시면 됩니다. 등기번호로 우체국 홈페이지를 가시면 수취 확인을 직접 하실 수가 있습니다.(상대에게 알려줘도 됩니다)

우체국 등기 보내는법 요약

  • ‘등기’ 요청을 받았다면 보낼 내용물과 주소 등을 가지고 우체국을 방문
  • 결제 후 등기번호를 받으면 끝

생각보다 쉽습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우체국을 방문하시면 됩니다. 보통 우체국에도 안내를 해주시는 분들이 친절하게 알려드리오니 물어보면 됩니다.

이상으로 우체국 등기 보내는법, 우편과의 차이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혹시라도 인터넷 TV 요금을 얼마 내시고 계신가요? 저는 월 1,800원으로 만들었는데요, 아래 포스팅을 한번 보시고 통신요금을 절약해보시기 바랍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