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EF 의료AI ETF 분석 운용전략 배당 분배금 수수료 주가 전망

KOSEF 의료AI ETF 분석 운용전략 배당 분배금 수수료 주가 전망 분석 포스팅을 업로드였습니다.

더 이상 다른 자료나 포스팅을 찾아보지 않아도 되게끔 관련 홈페이지, 정보들을 링크로 같이 남겨놓았습니다. 함께 링크를 눌러서 보시면 분명 도움이 되실 겁니다.

썸네일

그럼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많은 자료를 조사하고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자세히 살표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작하며

2024년 5월 28일,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의료 분야에 투자하는 ‘KOSEF 의료AI’ ETF가 국내 증시에 상장되었습니다.

고령화 시대를 맞아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AI 기술을 접목한 의료 산업의 성장 가능성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데요.

그럼 이 신규 ETF의 특징을 자세히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KOSEF 의료AI ETF 기본소개

KOSEF 의료AI
항목내용
상품명키움 KOSEF 의료AI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
유형국내 주식형 ETF
시가총액89억 원
상장주식수950,000주
52주 최고/최저12,000원 / 9,380원
기초지수FnGuide 의료AI 지수
상장일2024년 5월 28일
펀드보수연 0.490%
자산운용사키움투자자산운용(주)
1개월 수익률N/A
3개월 수익률N/A
6개월 수익률N/A

KOSEF 의료AI ETF는 국내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ETF로, 상장 직후인 현재 시가총액은 89억 원 수준입니다.

아직 상장 초기인 만큼 1개월, 3개월, 6개월 등 중장기 운용성과를 가늠할 수 있는 수익률 데이터는 제공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 ETF에 편입된 주요 종목과 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KOSEF 의료AI
종목명비중
루닛20.12%
종근당16.13%
보로노이8.11%
셀바스AI7.49%
JW중외제약7.03%
큐렉소5.92%
뷰노5.81%
HLB바이오스텝3.46%
제이엘케이3.07%
랩지노믹스2.70%

AI 의료진단 솔루션 개발 업체인 루닛이 20% 이상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 종근당, 보로노이, 셀바스AI 등 의료 빅데이터와 AI 기술을 접목한 기업들이 상위 종목군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KOSEF 의료AI ETF 운용전략

KOSEF 의료AI

KOSEF 의료AI ETF는 FnGuide에서 자체 개발한 ‘FnGuide 의료AI 지수’를 벤치마크 지수로 하여 운용됩니다.

이 지수는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상장 종목 중 의료와 IT 분야에서 AI 관련 기술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을 선별해 구성한 테마형 지수입니다.

KOSEF 의료AI

지수 편입 종목은 텍스트 마이닝 기법 중 하나인 TF-IDF 모형을 활용해 의료 AI 관련 키워드 유사도 스코어를 산출하고, 이 값이 높은 상위 25개 기업으로 구성합니다.

종목별 투자 비중은 개별 기업의 유동 시가총액에 따라 결정되며, 단일 종목 편중을 막기 위해 최대 비중은 20%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KOSEF 의료AI ETF 분배금(배당금) 및 배당률 세금

항목내용
배당 주기분기배당
최근 분배락일
분배금0원
연간 분배금0원
연간 분배율(배당률)

KOSEF 의료AI ETF는 기본적으로 분기마다 배당금을 지급한다는 계획이지만, 지난 5월 28일 신규 상장된 만큼 아직까지는 분배금 지급 내역이 전무한 상태입니다.

실제 펀드의 투자 성과나 운용사의 계획에 따라 향후 배당 규모가 결정될 것으로 보이나, 아직은 구체적인 배당 가능성이나 수준을 짐작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상장 초기인 만큼 배당 이력이 쌓일 때까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ETF 분배금에는 15.4%의 세금이 원천징수됩니다. 또한 매매차익에 대해서는 국내 주식형 ETF에 한해 비과세 혜택이 적용되며, 그 외 유형의 ETF는 매매차익에 대해서도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된다는 점은 유의해야 합니다.

KOSEF 의료AI ETF 수수료(운용보수)

항목비용
총보수율연 0.4900%
총보수비용비율(TER)연 0.4900%
실부담비용율연 0.4901%

KOSEF 의료AI ETF의 총보수율은 연 0.49%로 국내 주식형 ETF의 평균치인 0.3567%를 웃도는 수준입니다.

여기에 기타 비용을 포함한 총보수비용비율(TER) 역시 연 0.49%로 총보수율과 거의 동일합니다.

다만 거래비용 등을 고려한 투자자의 실질 부담비용인 실부담비용율은 연 0.4901%로 약간 높아지게 되는데, 그럼에도 동종 상품의 평균치인 0.5652%를 밑돌아 비용 측면에서는 다소 유리한 편입니다.

KOSEF 의료AI ETF 주가 전망

111

인공지능 기술이 의료 산업과 만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AI 진단이나 신약 개발 등의 분야에서 국내 기업들의 기술력이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정부 차원에서도 의료 AI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아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 중인 만큼, 관련 기업들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또한 AI 기술 자체의 고도화와 함께 그 활용 범위 역시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어 장기적인 성장세를 기대해 볼 만합니다.

다만 규제와 인증 등 산업 고유의 진입장벽이 높고, 의료 데이터 확보를 둘러싼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보여 업체별로는 기술력이나 수익성 격차가 벌어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아직은 시장 초기 단계인 만큼 테마 및 종목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해 보이는 ETF입니다.

KOSEF 의료AI ETF 요약정리

항목내용
상품명KOSEF 의료AI ETF
기초지수FnGuide 의료AI 지수
시가총액89억 원
실부담비용율연 0.4901%
분배율(배당률)아직 분배 이력 없음
예상 수익률의료 AI 업체 성장에 따른 수혜

결론

이상으로 국내 의료 AI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KOSEF 의료AI ETF’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고령화와 더불어 특히 팬데믹 이후 비대면 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AI 기술을 접목한 의료 서비스가 새로운 투자처로 급부상하고 있는데요. 진단부터 치료, 신약 개발까지 의료 전반에 AI가 활용되는 만큼 관련 테마에 투자하는 ETF의 매력도 커 보입니다.

다만 아직은 태동기인 산업인 만큼 기술 검증이나 상용화, 수익성 개선 등의 가시적 성과가 뒷받침되어야 ETF 성과로도 이어질 수 있을 것 같네요. 정책 변화나 업체별 경쟁 상황 등도 주시해야 할 부분입니다.

의료와 인공지능이 만나 만들어낼 새로운 투자 기회를 고민 중이시라면 오늘 소개해드린 ‘KOSEF 의료AI ETF’의 향후 행보에도 관심을 가져보시기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더 자세히 알아보러 가기

같이보면 좋은 포스팅 모음

TIGER 인도빌리언컨슈머 ETF 분석 운용전략 배당 분배금 수수료 주가 전망

종부세 뜻 설명 납부 기간 기한 세율 세액계산 가산세 정리

인감증명서 뜻 용도 인터넷 발급 주민센터 발급 방법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