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R 계산 / 계산기 / 뜻 / 규제 / DTI 차이 알아보기

DSR 계산 분석 포스팅을 업로드였습니다. 현재 부동산에 대한 규제, 특히 대출 규제가 풀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DSR 규제가 풀리지 않았기에 실질적으로 대출 규제 완화의 효과가 없다고 까지 얘기하는데요. 현 시점에서 DSR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그래서 제가 직접 많은 자료를 조사하고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DSR 계산 / 계산기 / 뜻 / 규제 / DTI 차이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그럼 아래를 자세히 봐주시기 바랍니다.

DSR 이란?

DSR (Debt Service Ratio) 뜻

DSR은 우리말로하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입니다. 현재 대출을 받으려면 이 DSR이 몇 %인지가 상당히 중요한데요.

쉽게 전체 금융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을 대출자의 연 소득으로 나눠 계산이 됩니다. 과연 대출을 받는 사람이 기존 부채와 더불어 현재의 대출까지 받았을때 상환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를 보는 것이죠.

이는 2016년 금융위원회가 마련한 대출심사 지표로 DTI, LTV와 함께 가장 많이 쓰이는 지표입니다.(✅ 나무위키에서 DSR 보기)

DSR 계산 방법

DSR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DSR =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액 + 기타대출 원리금 상환액) / 연간 소득

중점적으로 보셔야 하는 부분은 바로 ‘원리금‘입니다. 이게 바로 DTI와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아래에서 다시 중점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내 연 소득이 6,000만원이고 DSR 규제가 보통 40%라고 하면 위의 부채 원리금 상환액이 2,400만원을 넘으면 안됩니다.

DSR DTI 차이

둘다 대출심사 시 중요한 지표

DTI는 Debt To Income의 약자로 총부채상환비율입니다. DSR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인 것과 비교를 해보시면 차이는 바로 ‘원리금’입니다.(✅ 나무위키에서 DTI 설명 보기)

DTI 계산

DTI는 아래와 같이 계산이 됩니다.

  • DTI = [주택담보대출(원금+이자) 연간 상환액 + 기타 대출(이자) 연간 상환액] / 연간 소득

예를 들어 대출을 받으려고 할때 DTI가 60%를 넘지 않아야 한다고 하면 내 연 소득이 6,000만원이었을때 위에 있는 총부채 상환액이 3,600만원을 넘지 않아야 합니다.

이를 넘게 되면 대출이 나오지 않는 것이죠.

DSR VS DTI

위에서 연소득 6,000만원으로 DSR과 DTI 차이를 들어드렸는데요, 보시면 DTI가 DSR보다 훨씬 더 완화되었습니다.

총부채상환액(연) DSR은 2,400만원을 넘으면 안되고, DTI는 3,600만원을 넘으면 안되니까요.(현재의 규제 기준이 DTI 60, DSR 40이어서 이를 가정하였습니다.)

보시면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은 똑같지만 기타부채에서 이자만 넣으냐, 원금+이자를 넣느냐의 차이가 큽니다.

DSR의 기타 부채 포함 항목이 더 크다

그리고 기타부채에 어떤 것이 포함되는지도 DSR과 DTI의 차이입니다. DSR을 계산할 때에는 기타 원리금에 신용대출, 자동차 할부, 학자금대출, 카드론 등이 모두 포함됩니다.

DTI의 경우 DSR보다는 기타대출에 포함되는 항목이 적습니다. 전세자금대출, 신용대출 중 일부, 기타 대출, 예적금담보대출 등은 DTI에는 포함되지 않는 것이죠.

구분DSRDTI
계산(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액 + 기타대출 원리금 상환액) / 연간 소득[주택담보대출(원금+이자) 연간 상환액 + 기타 대출(이자) 연간 상환액] / 연간 소득
차이포함되는 대출이 더 많은 + 원리금기타 대출에 불포함 항목 많음 + 이자
현재 규제40%60%

DSR 규제 더 강력

DSR 규제를 풀지 않으면

그래서 사실상 LTV와 DTI가 완화되었다고 해도 DSR이 그대로라면 소용이 없습니다. DSR이 제일 강력한 대출 규제 방식이기 때문이죠.

현재 DSR은 40% 수준으로 이는 전 금융권을 통틀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다만 현재는 금융위가 주택담보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대출자들을 우해서는 기존 시점 DSR을 적용하는 등의 정책도 하고 있습니다.

DSR 계산, 계산기로 편하게

DSR 계산 쉽게 계산기로

DSR은 다소 복잡하기에 간단하게 스마트폰 계산기 등으로는 계산하기가 어렵습니다. 무엇보다도 본인의 대출을 모두 알고 있어야 할 수 있습니다.

DSR 계산기

DSR 계산기는 아래로 가시면 쉽게 계산을 해보실 수 있습니다.

DSR 계산기 사용방법

본인의 소득과 가지고 있는 대출을 모두 입력하시면 됩니다. 대출을 더 입력해야 하면 오른쪽에 있는 추가+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한번 위에서 말씀드린 예를 가지고 설명을 드려보겠습니다.

DSR 계산

위와 같이 대출 종류와 대출금액, 대출기간, 금리를 넣고 DSR 계산을 해보시면 됩니다. 연소득 6천만원의 경우 주택담보대출 3억, 신용대출 3천만원 정도(4% 가정)까지만 대출이 가능합니다.

정확한 DSR 계산은 은행에서 해봐야 합니다. 참고정도로만 계산해보시기 바랍니다.

DSR 계산 요약

  1. DSR = (모든 부채 원리금 상환액 ) / 연소득
  2. 나의 모든 부채를 원리금으로 계산한다
  3. DTI보다 더 강력한 대출규제책이다
  4. 현재 DSR은 40%로 모든 금융권 적용이다
  5. 정확한 DSR은 은행에 심사를 받아봐야 한다

DSR 계산 결론

DSR이 물론 가계부채를 적절하게 컨트롤 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볼 수도 있지만, 오히려 소득이 적은 사람들의 경우 주택담보대출이 나오지 않아 내집마련이 더 어려워졌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적당한 대출은 물론 중요합니다. 그러나 각 개개인에게 맞는 대출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상으로 DSR 계산 / 계산기 / 뜻 / 규제 / DTI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같이보면 좋은 포스팅

파파코 인공지능 AI 펀등 투자 괜찮은지 분석

첫 신용카드 추천, 현존 최고 혜택 KB 톡톡 my point 카드

이태원상권회복상품권 사용처 및 구매처, 할인율 알아보기

한전 에너지캐쉬백, 전기절약 환급 대상 신청 방법

롯데오너스 클럽 혜택 및 가입 이득 분석

DSR 계산 관련 자주묻는 질문 FAQ

DSR이 높다는 뜻은?

대출심사에서 거절될 확률이 많다는 말입니다. 현재 대한민국의 DSR 기준은 40%입니다.

DSR을 낮추는 방법은?

대출금을 줄이거나, 소득을 늘리는 것 밖에는 없습니다.

DSR에 포함되는 대출은?

거의 다 포함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특히 학자금 대출이나 마이너스 통장의 경우에도 모두 포함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