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LH 청년매입임대주택 신혼부부 입주자격 및 물량, 접수일정

2023년 LH 청년매입임대주택 분석 포스팅을 업로드였습니다. 2023년 매입임대주택에 대한 뉴스가 나왔습니다.

물량이 적지 않습니다. 청년은 2천호, 신혼부부는 약 3,700호 정도인데요, 6월부터 바로 입주가 가능하기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조금은 서둘러 준비를 하셔야 합니다.

제가 직접 많은 자료를 조사하고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2023년 LH 청년매입임대주택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그럼 아래를 자세히 봐주시기 바랍니다.

2023년 LH 청년매입임대주택 소개

매입임대주택?

매입임대주택은 국가나 지자체의 재정이나 주택도시기금의 자금을 지원받아서 기존 주택을 매입하여 특정 계층의 분들에게 거주할 수 있도록 하는 임대주택입니다.

새롭게 짓는 것이 아니라 기존 주택을 매입하는 것이기에 빠른 입주가 가능하고, 국가나 지자체, LH가 집주인이기에 전세금을 떼인다거나 하는 위험없이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것이죠.

⏩ LH매입임대주택 설명 보러가기

입주조건 및 임대기간

유형별로 조금은 상이하지만 대부분 아래와 같습니다.(아래에서 청년, 신혼부부 유형별로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임대조건 : 시세의 30% 수준 (영구임대주택 임대조건과 비슷)
  • 임대기간 : 기본 2년씩 계약하지만 최대 6년~20년까지 가능

2023년 LH 청년매입임대주택 입주자격 등

청년매입임대주택 입주자격 및 임대료, 거주기간

구분청년
신청자격무주택자인 미혼 청년
(대학생, 취준생, 19~39세)
소득기준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 이하
(2순위 본인+부모,
3순위 본인)
주택유형오피스텔 등
임대료시세 40~50%
거주기간최대 6년

⏩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으로 우대받자?

신혼부부매입임대주택 입주자격 및 임대료, 거주기간

구분신혼부부 I신혼부부 II
신청자격무주택 신혼부부
(혼인 7년 이내)
무주택 신혼부부
(혼인 7년 이내)
소득기준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70% 이하
(부부합산 90%)
1~3순위 100%(부부합산 120%)
4순위 120% 이하(부부합산 140%)
주택유형다가구 주택 등다가구주택 + 아파트, 오피스텔
임대료시세 30~40%시세 60~80%
거주기간최대 20년최대 6년
(자녀가 있는 경우 최대 10년)

[참고]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100%)소득은 아래와 같습니다.

도시근로자 평균소득

2023년 LH 청년매입임대주택 물량 및 접수일정

2023년 입주자 모집 물량(예정)

구분1분기2분기3분기4분기합계
청년/신혼부부
(수도권)
5,775
(3,848)
5,594
(4,050,)
4,884
(3,374)
5,810
(4,297)
22,063
(15,569)

적지 않은 수준입니다. 분기별 거의 5,000가구를 모집하고 있으며, 2023년으로 보면 대략 22,000가구를 모집합니다.

⏩ 국토부 보도자료로 보러가기

공공주택사업자별(LH, SH 등) 매입임대주택 물량 및 접수일정

✅ 한국토지주택공사(공고문 바로가기)

LH 물량 2023년 LH 청년매입임대주택

✅ 서울주택도시공사(공고문 바로가기)

SH 물량 2023년 LH 청년매입임대주택

✅ 인천도시공사(공고문 바로가기)

인천 물량

✅ 경기주택공사(공고문 바로가기)

경기 물량

2023년 LH 청년매입임대주택 실제 예시

서울시 광진구 화양동 (더메종건대)

✅ 네이버 부동산에서 단지정보 보러가기

더메종건대

⏩ 더메종건대 위치 바로 보러가기

내부구조도

임대기간 및 임대조건

2023년 LH 청년매입임대주택 1

보시면 임대보증금은 순위별로 다르지만 100~200만원입니다. 실제 월세는 어떻게 정해질지 아직은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더메종건대 월시 세시 보러가기)

2023년 LH 청년매입임대주택 간단 요약 정리

  1. 국가 등에서 매입하여 임대하는 주택이기에 조건이 좋다
  2. 청년, 신혼부부는 소득/자산조건이 있다
  3. 임대료가 시세보다 훨씬 저렴하다
  4. 최장 6년에서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다
  5. 내집마련을 하기전 준비를 할 수 있는 주택

결론 : 2023년 LH 청년매입임대주택

이상으로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미 있던 주택을 매입하는 것이기에 입주가 빠릅니다.

즉, 빨리 준비를 하셔야 합니다. 자격이 되는지 먼저 확인을 하시고, 실제 공고문들을 보면서 어디를 지원할지 정하셔야 합니다.

✅ 한국토지주택공사(공고문 바로가기)

✅ 서울주택도시공사(공고문 바로가기)

✅ 인천도시공사(공고문 바로가기)

✅ 경기주택공사(공고문 바로가기)

어차피 분기별로 모집을 한다고 해도 경쟁률은 상당히 높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2023년 LH 청년매입임대주택 신혼부부 입주자격 및 물량, 접수일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같이보면 좋은 포스팅

네이버페이 X 삼성페이 연동 혜택 분석 (과연 뭐가 이득인지)

병원비 할인카드, 매월 5% 할인 가능 신한 레이디 클래식

토스 체크카드 혜택, 과연 쓸만한지 분석 (시즌 4)

사망자 재산조회, 채무조회, 금융거래조회 하는 방법

긴급생계비대출 신청 및 사전예약 방법 (최대 100만원)

2023년 LH 청년매입임대주택 자주묻는 질문 FAQ

집이 너무 좁은거 아닐까요?

청년보다는 신혼부부의 경우 그렇게 느낄 수 있습니다만, 어차피 임대조건이 좋기에 감수해야 할 부분입니다.

임대료는 어떻게 정해지나요?

시세를 먼저 조사하고나서 정해진 기준에 따라 감액될 것입니다. 주변 시세가 100만원이면 시세의 50%가 조건이니까 50만원으로 정해지겠습니다.

보증금을 떼일 염려는 없을까요?

국가에서 운영하는 부분이고, 보증금 자체가 낮기에 그럴 위험은 전혀 없다고 봅니다.